|
|
|
↑↑ 김경희
웅상신문 대표이사 |
|
|
2023년 계묘년이다. 새해가 되면 해마다 연례행사처럼 올해도 기대와 설렘으로 목표를 세우고 희망을 가져본다. 출발점이 좋다.
지난 3년간 세계를 공포와 두려움에 떨게 하면서 초토화했던, 끝없이 지속될 것만 같은 코로나19가 시간이 지나면서 종식될 기미를 보인다, 오는 30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의료기관 등 몇몇 장소 이외 모두 해제되면 좀더 자유로워질 것이고 2023년 새해가 시작되지 않았는가.
하지만 주위를 돌아보면 그다지 희망적이지는 않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험악해진 국제정세는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에너지 위기, 세계 곳곳에 일어나는 이상 기후로 인한 재난으로 세계는 몸살을 앓고 있다.
또한 고금리 정책으로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는 가계부채에 서민들은 공포에 떨고 있다.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가 이끄는 4차 산업혁명은 미래에 인간이 설 자리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마저 조성한다.
특히 기후 위기의 심각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2014년 인류의 무절제한 자원 낭비가 기후변화를 가져왔고, 그것은 생태계의 교란과 붕괴로 이어졌으며 궁극적으로 야생동물의 이동과 함께 바이러스의 창궐을 가져올 것이라고 제리미 리프킨의 말은 맞았다. 또 다른 학자들도 코로나19가 발생한 원인을 인간의 무분별한 식생활과 생태계의 파괴와 환경의 오염과 지구 온난화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기후변화는 우리의 삶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리가 보장받고 살아갈 수 있는 인권을 위협하고 있다. 그런데도 국가가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고 가만히 있다면 그것은 바로 국민이 누려야 할 인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왜 이런 말을 하느냐 하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인 IPSS란 국제기구는 각국이 공동으로 노력해 지구 기온 상승 폭을 일정 수준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고 2018년 보고서에 밝혔다. 즉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면 기후 위기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이를 알고 있음에도 적극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지 않거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피해를 입은 피해자들을 구제하지 않는 것은 결국 인권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것은 명백히 인권침해다.
2015년 파리기후협약 서문에도 “기후변화 해결을 위해 행동할 때, 당사국들은 인권과 건강권, 선주민, 지역사회, 이주민, 어린이, 장애인, 취약한 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권리, 개발권뿐만 아니라 성평등, 여성 임파워링 및 세대간 평등을 존중, 증진하고 이에 대한 각자의 의무를 고려해야 한다”라는 내용이 있다. 이는 그동안 국제사회도 기후 위기가 인권의 위기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걸 인지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무튼 이 모든 악조건, 코로나19의 악몽과 기후변화의 재난과 전쟁과 고유가 고물가 고금리의 힘든 시기를 겪으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안간힘을 다해 열심히 살아왔다. 그렇게 안하면 살아갈 수 없으니까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다 보면 좀 더 나은 세상이 오겠지 하고 용기를 낸다.
2013년 계묘년 올해는 악화된 상황들이 좋아지고 더 나은 세상이 되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