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최광우 회야강백리물길 밴드장
|
|
회야강은 천성산 무지개폭포 상류에서 시작되어 덕계평산을 흘러 서창소주를 지나 울주군 서생면 진하해수욕장까지 100리를 흐른다. 회야강은 울산시민들의 생명수이자 웅상시민들의 물줄기이다. 비록 웅상시민들은 낙동강물을 상수원으로 사용하지만 울산시민들에겐 상수원이다.
회야강은 웅상의 여러 골짜기에서 흐르는 계곡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방골, 피소골, 탑골, 시명골, 큰골, 사창골 등 많은 골짜기의 대표적인 곳이 시명골 탑자골 장방골 등이 있다.
회야강은 웅상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며 흐르는 강물이다. 시민들은 보통 회야천이라고 부르는 분들이 다수 있지만 회야강은 바다와 연결되는 강이다. 하천은 강의 지류이다. 예를 들자면 양산천은 회야강에 비하여 강폭의 규모는 크지만 낙동강과 연결되는 지류천이다. 회야강을 기점으로 덕계동과 평산동 서창동과 소주동을 경계를 구분하는 기점으로 볼 수 있다.
지형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는 회야강이 최근 들어 마른 건천이 되어버렸다. 웅상지역의 난개발로 산림과 생산녹지가 줄어들면서 물을 보관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녹지가 사라져 버렸다. 큰비만 내리면 회야강은 홍수가 나고 갈수기에는 가뭄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웅상지역에 공업용수가 들어오지 않아 주변 공단에서 지하수를 마구잡이로 끌어다 사용하다보니 회야강은 메마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심지어 소주공단 00모직을 경우 회야강 하천중앙에 취수공을 설치하여 강물을 끌어다 공업용수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
|
|
회야강 |
|
많은 선출직 의원들이 선거철만되면 회야강을 살리겠다고 여러 공략을 내세우는 듯 하다.
그러나 피부로 와닿는 회야강의 변화는 크지않다. 최근 회야강에 안심벨과 화장실 징검다리 해충퇴치기등 소소한 변화는 있었다. 이 넓은 산책로에 자전거 공기주입기 하나 없다. 인근 정관 좌광천이나 양산천에는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설비이지만 웅상의 회야강에서는 어디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설비이다.
늘어나는 인구와 산책로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안전을 생각한다면 앞으로는 보다 시민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게 자전거 도로와 인도가 분리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 현재의 회야강 표현하자면 쓸쓸한 회야강이라 표현할 수 있다. 회야강에서 명동공원이나 평산음악공원까지 연결도로의 설치가 필요하다. 회야강과 명동공원 및 평산음악공원이 연결된다면 보다 많은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우불신사와 우불산선을 개발하여 회야강을 연결하여 웅상의 문화재 홍보에 열을 내어야 할 것이다.
회야강은 외로운 물줄기와 같다. 지류천을 회야강과 연결하여 개발한다면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다. 회야강을 단순한 지방하천이 아니라 울산과 협력하여 국가하천으로 승격이 된다면 보다 많은 예산과 자원으로 회야강을 관리하여 울산시민과 양산시민들의 연결통로가 되고 자전거도로를 연결하여 회야강에서 울산진하해수욕장까지 연결한다면 하나의 관광테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주민들이 말로만 회야강을 발전시킬 것이 아니라 지역주민과 지역업체와 양산시가 함께 힘을 합쳐 가꾸어간다면 회야강은 날로 변화하는 회야강이 될 것이다. 회야강을 이용한 관광상품이나 컨텐츠 개발에도 앞장 서고 웅상을 상징하는 회야강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해본다. 불과 100여년 전까지 웅상에서 배를 타고 바다로 왕래가 있었다고 한다. 필자의 희망사항이지만 회야댐이 철거되어 보가 개방된다면 배를 타고 진하앞바다까지 나아갈 수 있는 희망을 기대해 본다.
회야강의 주이용고객은 여성과 노약자이다. 주로 이른 아침과 저녁에 많은 시민들이 이용한다. 그러므로 시민안전에 힘써야 할 것이다. 안심벨과 비상벨을 설치를 늘이고 산책로의 조도를 높여 보다 안전하고 밝게 산책할수 있는 조건을 만들고 산책로 주변에 쉼터를 보다 쉽고 편하게 산책할수 있는 회야강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인구 10만을 바라보는 웅상의 회야강은 변화하고 있다. 아주 조금식 천천히 회야강을 친수공간으로 변화하는 날까지 회야강을 사랑하고 관심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웅상의 랜드마크 회야강이 되는 그날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