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지역

‘월평 교차로 신호체계’ 주민들 극도로 분노

최철근 기자 입력 2012.10.13 18:11 수정 2012.10.13 06:11

-당초 오거리(부산~울산~60호선~정관~월평~웅상)신호체계
를 사거리(부산~울산~정관~60호선)신호체계로 변경-

ⓒ 웅상뉴스
월평사거리를 중심으로 정관면 월평마을, 두명마을, 임곡마을 1천여 명의 주민들은 극도로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지난 12일 오전 9시 월평사거리에 기장군 정관면 월평마을과 임곡마을, 두명마을 등 3개 마을 1천여 명의 주민들이 월평 교차로의 신호체계 변경을 강력 반대하는 시위를 또 한차례 벌였다.

주민들에 따르면 이들 3개 마을은 수십년전부터 상수원 보호구역과 그린벨트 구역으로 묶여 재산권 행사는 물론 탈 농사도 못하고 있었는데 대한 불만인 가운데 10여년전 국지도 60호선(부산시 기장군 장안면~월평~양산시 동면)도로 건설로 인해 현실성 없는 보상가로 편입 또는 수용됐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은 이제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자 당초 오거리(부산~울산~60호선~정관~월평~웅상)의 신호체계를 사거리(부산~울산~정관~60호선)신호체계로 변경하는 당국에게 강력 반발하고 있다.

현행 변경신호체계에 따르면 월평마을에서 기장군청이나 정관면사무소에 지금 처럼 바로 정관방면으로 직진을 하지 못하며 또 웅상으로 좌회전도 하지 못하고, 국지도 60호선의 지선(너비 2m)을 따라 "약 1㎞나 빙빙둘러 갔서 7호선 국도를 따라 다시 올라와야 한다.

이에 주민들은 시간적 경제적 이중 부담을 겪어야 하는 것이라며 월평 교차로의 신호체계 변경을 강력 반대하고 있다.

또 상당수의 주민들이 웅상지역과 정관, 기장, 해운대 등에 생활권 두고 있어 주민들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인데도 주민 설명회 한번 없이 신호체계를 마음대로 변경하는 것은 탁상행정으로 지역 주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것이라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2여일째 시위를 벌이고 있는 이들 3개마을 주민들은 "수천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마을의 진, 출입로를 어떻게 가로 막을 수 있느냐? 죽어도 신호체계변경은 안된다"며, "옛날길 놔 두고 왜 1㎞나 돌아서 가나", "월평 교차로 오거리 신호체계 안되면 60호선 완공없다" 등 수십여개의 깃발과 현수막이 걸려있다.

ⓒ 웅상뉴스
때마침 7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월평초등학교가 수원보호구역과 그린벨트 구역으로 인한 주민 감소로 약 7여년 전 폐교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동문과 지역주민들의 피나는 노력으로 이제 겨우 정상화에 접어들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학교 앞 건널목(월평 교차로)의 신호체계를 변경하면 어린 초등학생들의 등, 하굣길에 엄청난 불편이 가중돼 정관 신도시와 두명마을, 임곡마을 학생 유입이 어려워 또 다시 폐교 위기를 맞을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주민은 "월평 교차로는 학교와 거리가 불과 200여m에 지나지 않은 스쿨존으로 만약 신호체계가 변경된다면 학생수가 크게 감소될 것"고 말했다.


저작권자 웅상뉴스(웅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